서울 대리운전기사 85.9% "손님에게 맞은 적 있다"
서울노동권익센터 실태 보고서…고용·산재보험 미가입 90%
'로지타도 대리기사 투쟁본부'가 지난 2013년 5월14일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서 교보타워 4거리
로지소프트사 앞까지 행진하며 대리운전 수수료 인상을 반대하는 가두홍보를 하고 있다.
(로지타도 대리기사 투쟁본부 제공)2013.5.14/뉴스1 2013.05.14/뉴스1 © News1
제공)2013.5.14/뉴스1 2013.05.14/뉴스1 © News1
서울시 대리운전 기사 10명 중 8명 이상이 손님에게 폭행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김주환 서울노동권익센터 공동연구원의 '대리운전기사의 노동조건과 환경실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에 있는 대리운전업체나 협동조합 등 단체소속 기사 3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 85.9%가 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폭행 횟수는 한 해 3~5회(47.2%)가 다수였으나 10회 이상도 15.5%나 됐다.
폭행 당했을 때 대처 방법은 '참고 넘긴다'(39.6%)가 가장 많았으며 '경찰 도움 요청'(33.7%) '자력해결'(24.3%) '동료·단체의 도움'(2.4%) 등의 순이었다.
이같이 폭행을 당하고 트라우마를 경험했다는 응답도 57.3%(매우 그렇다 14.2%, 조금 그렇다 43.1%)를 기록해 심각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대리운전기사들의 노동·경제환경은 매우 열악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 근속연수는 4.35년으로 국내 전체 노동자 평균 근속연수 6.4년을 밑돌았으며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미가입률은 각각 85.2%, 86.6%에 달했다.
월평균 순수입은 156만9000원에 그쳤고 수입에 대한 만족도도 6.5%에 불과한 반면 '불만족'은 62.6%를 기록했다. 또 지난 3년간 수입이 줄었다는 응답이 80.4%에 이르렀으며 가장 큰 이유는 '건당 운임료감소'(46.0%)를 꼽았다.
응답자 가구의 소득분포를 보면 총가구소득이 평균 272만7300원으로 전국민 월평균 가계소득의 63.4% 수준에 그쳤다. 주거 형태도 자기 집을 가진 사람이 21.4%로 전 국민 자가보유율 58.05%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직을 희망하는 응답자가 79.0%에 달했지만 78.4%가 이직 준비를 못하는 상태였다. 대리기사를 하기 전 직업은 자영업이 53.1%로 가장 많았고 사무직(16.7%) 서비스업(11.3%) 생산직(5.1%)의 순이었다.
이같이 열악한 조건에서도 노동조합에 가입했다는 사람은 5% 뿐이었으며 노조는 물론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조직이든 가입하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64%를 차지했다.
정부에 요구하는 정책은 '(회사의) 부당관행에 대한 행정조치'(39.7%) '노동기본권 보장'(38.6%) 생존권 보장 복지정책(20.3%) 등이었으며 서울시에는 '쉼터와 교통편의 강화'(48.9%) '적극적 복지정책'(29.4%) '재정적 구제제도'(13.1%) 등을 요구했다.
이 보고서는 국내 대리운전업 종사자수를 전국 10만여명, 서울 2만여명 가량으로 추산했으며 시장규모는 매출기준으로 2조~2조5000억원 쯤으로 추정했다.
nevermind@
* 출처: 뉴스 1 http://news1.kr/articles/?2332792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겨레신문]다음카카오 ‘대리운전 서비스 진출’ 두고 맞불 집회 (0) | 2015.11.29 |
---|---|
[스크랩] [newsway]다음카카오 결정도 안 했는데…대리운전업체-기사들 갈등 (0) | 2015.11.29 |
[스크랩] [교통신문]다음카카오 ‘대리운전 진출’ 논란...대리기사협회 `찬성`, 대리운전연합회 `반대` (0) | 2015.11.29 |
[스크랩] [헤럴드경제]“골목상권 침해” vs “골목깡패 소탕”…카카오 대리운전사업 진출 ‘동상이몽’ (0) | 2015.11.29 |
[스크랩] [한국인권신문]대리운전기사-대리운전업체, 카카오대리 두고 팽팽한 대립 (0) | 2015.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