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스크랩] 컴퓨터 화일의 종류/전국대리기사협회

사단법인 전국대리기사협회 2016. 1. 13. 02:25

 인쇄용 파일과 문서파일의 차이


문서파일이란 말 그대로 사무실에서 문서 작성시 필요한 프로그램에서 생성되는 파일을 말합니다.
텍스트파일(.txt) 한글파일(.hwp) 엑셀파일(.xls) 파워포인트파일(.ppt) MS워드파일(.dos) 훈민정음파일 등을 말합니다.
이런 문서용 파일은 인쇄용으론 부적합 합니다.
인쇄용 파일은 해상도가 좋은 이미지 파일이나 벡터 방식의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인쇄 가능한 파일의 종류


인쇄 가능한 이미지 파일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AI]
AI(Illustrator) 형식은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기본적으로 저장하게 되는 벡터 형식의 파일입니다.
색상의 보존력이 뛰어나고 다른 프로그램들과의 호환이 쉬운 것이 장점입니다.
인쇄시 가장 선명하게 인쇄되는 파일입니다.

[EPS]
EPS(Encapsulated Post Script) 형식은 인쇄할 때 사용하는 파일 포맷으로, 고품질의 출력전용 형식입니다.
파일 용량이 크지만 강력한 기능 때문에 많이 사용되며, CMYK 모드를 지원하여 완벽한 C,M,Y,K 분판 출력이 가능합니다.
또한 매크로미디어 사의 드로잉 프로그램인 프리핸드의 전용 형식이며, 벡터 방식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형식입니다. 일러스트레이터와 포토샵에서도 저장이 가능하나 포토샵의 경우 해상도를 300dpi이상으로 작업 후 저장하셔야 인쇄용으로 적합니다.

[PSD]
PSD(Photoshop Data Format) 형식은 어도비 사의 포토샵에서 사용되는 기본 형식입니다.
작업하신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 기술을 사용하며, 이는 단순히 이미지 저장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문자, 레이어, 투명 레이어, 알파채널, 패스, 세이프, 텍스트 등을 함께 저장하기 때문에 용량이 큰 편입니다.
포토샵에서 작업을 계속하려면 PSD형식으로 저장해야만 자체 수정이나 편집이 가능합니다.
명함천사에 접수시 수정을 원하실 경우 PSD파일로 접수를 하셔야 합니다.

[JPG]

JP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형식은 사진 이미지를 위해 개발된 형식으로 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합니다.
손실 압축이란 이미지의 컬러 정보 일부를 누락시켜 압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손실 압축으로 압축률은 높아서 파일 용량이 작지만 압축률을 높일 경우 이미지의 상태(Quality)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있으며, 단일 색상으로 이루어진 그래픽 이미지의 압축률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반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저장 형식을 지정할 때 다양한 단계로 압축할 수 있어 이미지를 가장 좋게 보이게 할 수 있으며, 이미지 저장 형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이며 인쇄용으로 사용 시에는 300dpi로 작업 후 저장하셔야 인쇄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TIFF / TIF]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형식은 거의 모든 종류의 시스템에서 호환이 가능한 뛰어난 파일 형식입니다.
특히 TIFF파일포맷은 LZW라고 하는 압축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압축방식은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무손실 압축방식을 사용하면서 파일의 용량을 최대한 줄여주기 때문에 즐겨 사용됩니다.
비압축 파일 형식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며 각 픽셀 당 RGB 각각 8비트의 색상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화질의 출력이 가능하며 CMYK모드, RGB모드, Grayscale모드를 지원하며 하나의 알파채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고품질 인쇄는 각 색상이 가지고 있는 컬러 정보량이 많아야 더욱 다양한 컬러와 출력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일 용량이 JPG 등에 비해 8~10배 정도 크기 때문에 메모리 효율성 면이 떨어지고, 전송 부분에 있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DF]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형식은 어도비(Adobe)사의 아크로뱃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문서 작성용 파일 형식으로, 파일 용량이 작고, 강력한 기능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포스트스크립트로 작성된 다른 문서와 구조가 동일하지만 검색과 네비게이터 기능이 있어 하이퍼텍스트 기능과 전자 목차 기능을 제공하며, 다양한 사용성과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미지화된 작업파일은 인쇄시 망점이 뭉게져서 나옵니다.


스케너나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인물이나 배경은 직접 인쇄는 불가능하나 포토샵에서 가공을 하면 소스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스케너나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명함이나 인쇄물은 직접 인쇄가 불가능합니다.
인쇄는 CMYK칼라이며 망점으로 인쇄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흐려 보이거나 망점이 보여 이미지가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웹에서 다운 받으신 파일은 300dpi로 고해상도일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출처 : 사단법인 전국대리기사협회
글쓴이 : 대리만족 원글보기
메모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포토샵 배우기  (0) 2016.01.13
[스크랩] 포토샵 이용하기  (0) 2016.01.13
[스크랩] 윈도우 7, 무슨 버전이 좋을까?  (0) 2015.10.23
[스크랩] 녹음하기  (0) 2015.10.23
[스크랩] 다음 팟인코더  (0)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