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스크랩] jtbc: "무조건 대리기사 잘못"…업체 횡포에 불이익 떠안아

사단법인 전국대리기사협회 2015. 11. 29. 12:56

 

 

     

       2014년12월24일(수) jtbc저녁 8시뉴스룸 방송입니다.

      사단법인 전국대리기사협회의 기명종, 이호진 두 회원님들께서 출연하여 수고해주셨습니다.

      깊이 감사드립니다.

 

 

 

* 출처: jtbc  http://bit.ly/1xOvKLJ

 

 

 

그런데 대리 기사들을 더 힘들게 하는 건 손님보다 업체의 횡포라고 밝혔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대리기사 탓으로 돌리기 때문에 어떤 항의조차 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어서 강나현 기자입니다.

[기자]

2년째 대리운전을 하고 있는 김모 씨는 최근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스마트폰 앱에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배차 정보, 즉 '콜'수가 급격히 줄어든 겁니다.

승객 항의가 들어오자 손님 배정을 해주지 않았습니다.

[김모 씨/대리기사 : (콜을 받은 후) 20분을 밖에서 기다렸어요. 연말에는 콜이 많으니까 20분이면 많이 손해거든요. '5000원 더 생각해주셔야 된다'고 했더니 손님이 항의 전화를 한 거죠.]

업체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상황판에 김씨는 '5분도 채 기다리지 않고선 웃돈 요구한 기사'로 등록됐고 '그렇게 살지 말라'는 말까지 적혀 있었습니다.

[김모 씨/대리기사 : 배차제한이라는 게 굉장히 일방적이라는 거죠. 일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은 콜센터의 '갑질'입니다.]

수수료 외에 떼가는 돈들도 큰 부담입니다.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요금을 올리지 못하자 기사들에게 손해를 떠넘긴다는 겁니다.

배차조회만 해도 벌금을 물리는 게 대표적입니다.

[이모 씨/대리기사 : 내가 모르고 급히 눌렀어요.그럼 배차가 되잖아요. 신호가 있어요. 10초 9초 8초…이렇게 못 가겠다고 누르면 500원이 (충전해 놓은 돈에서) 빠져나가요.]

상세 정보까지 확인하고 수락하지 않으면 벌금은 두 배가 됩니다.

[대리기사 : 우리 목적이랑 안 맞을 수도 있으니까 바로 취소를 해요. 그러면 1000원씩 빼가요. 아깝잖아요.]

스마트폰에서 배차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보는 것도 돈을 내야 합니다.

[이모 씨/대리기사 : 프로그램 하나당 (한 달에) 1만 5000원이에요. 보통 네다섯 개 (많게는) 여덟 개까지 까는 분도 봤어요.]

대리 기사들은 노동권을 보장할 수 있는 법을 원하지만 관련법은 몇 년째 국회에 계류 중입니다.

[박모 씨/대리기사 : 공개된 표준 약관이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그렇게 돼야 어떤 부분이 불합리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잖아요.]

 

 

 

 

출처 : 사단법인 전국대리기사협회
글쓴이 : 전국대리기사협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