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시사위크]카카오드라이버 수수료 논란:실망 속 교차되는 기대와 반발
[카카오드라이버 수수료 논란] 실망 속 교차되는 기대와 반발
| 승인 2016.04.05 18:30:44 |
▲ 카카오드라이버의 수수료를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사진은 카카오드라이버 홍보사진.
<출처=카카오>
[시사위크=장민제 기자] 카카오가 새로운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인 카카오드라이버(대리운전)를 준비 중인 가운데, 수수료 문제로 잡음이 일고 있다. 카카오 측은 20%의 수수료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대리운전기사들은 아직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 다만 대리운전기사들 사이서도 카카오를 일단 믿어보자는 의견과 수수료를 더 낮춰야 한다는 의견으로 갈리는 모양새다.
◇ 카카오, 수수료 20%로 대리운전 사업 진출
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현재 올해 2분기 중으로 카카오드라이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리운전기사들을 모집 중이다. 특징은 기존 대리운전 업체에선 기사들의 부담인 프로그램 사용료(4-5만원)와 보험료(10-15만원) 등을 카카오가 부담했다는 점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드결제 수수료와 부가세를 합치면 5% 가량”이라며 “실질적으론 15%의 수수료가 수익”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수수료를 20%로 책정함으로써 대리운전기사들에게 큰 환영을 받진 못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물론 대리운전 협회 간에서도 이와 관련해 의견이 나뉘고 있다.
먼저 카카오의 20% 수수료 정책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쪽은 카카오가 대리운전기사들의 구세주로 등장했지만, 정작 세부내용을 뜯어보면 큰 혜택이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 “카카오드라이버, 대리기사들에 큰 혜택 없어”
전국대리기사협회 김종용 대표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현재 대리운전 기사들에 대한 업체들의 수수료는 수도권의 경우 20%, 지방은 25% 수준”이라며 “카카오가 기사들의 보험료를 대납해 주고 프로그램 사용료를 면제해 준다고 하지만, 비슷한 수준의 수수료를 받는다면 대리기사들에겐 큰 메리트가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의 이 같은 주장은 대리운전 시장의 특수성에 기인한다. 카카오의 대리운전업 진출이 시장 전체를 키우지 못하는 이상 대리운전 기사들은 콜을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업체에 등록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런 현실에 카카오가 20% 수수료로 대리운전 시장에 진출한다는 것은 대리운전 기사들에겐 등록해야 하는 하나의 업체가 더 늘어날 뿐이란 것이다.
물론 카카오 측은 기존 업체와 다르게 보험료 대납 및 프로그램 수수료를 면제시켜준다.
하지만 김 대표는 “카카오의 수수료는 기존 시장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보험료 대납 및 프로그램 수수료 면제는 신규로 시장에 진입해 기사들을 모으기 위한 비용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 “아직 시작단계, 믿어볼 필요 있다”
반면 다른 쪽에선 카카오의 수수료 정책이 미흡하지만 일단 한번 믿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경기지부의 박영봉 지부장은 “당초 10%대의 수수료를 예상했지만 높게 책정됐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아직 시장진출도 안한 시점에서 카카오로서도 (수수료를 낮춘다는 것은) 부담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지부장은 또 “일단 기존 업체에 맞춰서 20%로 내놨지만 보험료 포함에 프로그램 사용료도 없다”며 “마진이 남게 되면 기사들에 대한 복지 혜택도 계획 중이라니깐 인정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즉, 카카오는 기존 업체와 달리 콜센터도 운영하지 않는 만큼 수수료를 좀 더 낮게 책정할 여유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초기 연구개발비 등 준비자금이 필요하다는 점과 ▲기존 업체와 비교해 나쁘지만은 않은 조건이란 점 ▲그리고 추후 기사들의 복지향상을 약속했다는 점 때문에 카카오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카카오가 현재 검토 중인 대리운전기사에 대한 복지향상은 이동수단 제공으로 전해졌다. 대리운전기사들의 업무가 야간에 이뤄지는 만큼, 서비스 제공 후 마땅한 이동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현행법(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등) 상 셔틀버스 운행 등은 불법으로 규정되기에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현재로선 수수료 인상이나 인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자문협의회 등 대화채널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고, 다른 복지차원서 상생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 출처: 시사위크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67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