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리운전 서비스 시장동향
- 대리운전 서비스 사용 이유의 다원화 -
- O2O 대리운전 서비스시장의 급속한 성장 및 불안요소 존재 -
□ 성장 배경 및 시장현황
ㅇ 자동차시장의 고속 성장으로 인한 대리운전 수요 증가
- 중국 자동차 보유량은 200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상승함. 중국의 자동차 보유량 증가는 중국 대리운전시장 성장의 근본적 배경이 됨.
2009~2016년 중국 자동차 보유량
자료원: 중국 자동차유통협회(中国汽车流通协会)
ㅇ 음주운전 처벌 강화에 따른 대리운전 수요 증가
- 2000년대 초 중국의 대리운전 서비스는 이미 존재했지만, 수요가 매우 적었고, 시장규모도 매우 작았음.
- 2010년 제11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에서 형법을 수정하면서 음주 운전을 범죄행위로 지정, 단속 및 처벌을 강화함. 이에 따라 대리운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
ㅇ 인터넷 보급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발달에 따른 사용량 증가
- 인터넷 보급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발달로 언제 어디서든 쉽게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됨.
- 애플리케이션 이용 시 정확한 이동거리 및 자신의 위치, 예상 도착시간 등을 알 수 있어 매우 편리함.
- 즈푸바오(支付宝), 웨이신(微信)페이 등 간편결제의 발달은 대리운전 서비스 사용량 증가를 촉진함.
대표적인 대리운전 애플리케이션: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 e대리운전(e代驾)
자료원: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 e대리운(e代驾)
ㅇ 중국 대리운전 시장규모 증가와 이에 따른 사고 감소
- 칭화대학 법학원(清华大学法学院)이 발표한 '대리운전 발전 백서(代驾行业发展白皮书)'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중국의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량은 2억5300만 건 이상으로 집계됐으며, 시장규모는 154억 위안(2조6249억 원)에 달함.
- 대리운전 서비스 사용 증가에 따라 2016년에는 교통사고가 전년 대비 350만 건 이상, 음주운전 처벌자가 83만 명 이상 감소했으며 재산피해가 452억 위안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 서비스 이용자 분석
ㅇ 음주 외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 이유도 적지 않음.
- 음주 후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이 가장 보편적인 이유지만, 그 외에 다른 이유로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빈번함.
중국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 현황(복수선택 가능)
자료원: 비다쯔쉰(比达咨询)
ㅇ 중국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자 현황
- 중국에서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하는 79%이상이 대졸 이상의 학력이며, 월수입 1만 위안 이상인 이용자가 전체 이용자의 61%를 차지함.
- 서비스 이용자의 76%가 남성이고, 63.8%의 사용자는 28세 이상 사용자임.
중국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자 현황
자료원: 비다쯔쉰(比达咨询)
□ O2O(Online to Offline) 대리운전 서비스
ㅇ O2O대리운전 서비스시장의 성장
- O2O 대리운전 서비스시장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애플리케이션 발달과 함께 등장함.
- O2O 대리운전 서비스는 등장 이후 중국 대리운전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2017년 상반기에는 시장 규모가 매달 5억 위안에 달함.
2017년 상반기 인터넷 대리운전 서비스 시장규모
자료원: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ㅇ 디디추싱(滴滴出行)의 대리운전 서비스시장 참가
- 2015년 이전까지 O2O 대리운전 서비스는 e대리운전(e代驾), 아이대리운전(爱代驾), 윈대리운전(云代驾), 안대리운전(安代驾), 웨이대리운전(微代驾) 등 중소업체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었음.
- 하지만 2015년 이미 대중화돼 있던 택시 애플리케이션 디디추싱(滴滴出行)이 대리운전서비스(滴滴代驾)를 출시함으로써 시장 지배적 구조를 형성함.
- Analysys이관(Analysys易观)에 따르면, 2017년 4월 이후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자의 90% 이상이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을 이용함.
2017년 상반기 O2O 대리운전 이용률 상위 3개 기업
자료원: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ㅇ 차별화 없는 가격과 서비스, 인지도 및 편리성이 중요
- 주요 업체별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 요금 및 주요 서비스를 살펴보면 큰 차별점은 없음.
주요 업체별 대리운전 요금 및 서비스
구분 | 업체명 | 이용 요금 | 주요 서비스 | |
베이징 | 선양 | |||
1 | 디디대리운전 | 6:00~21:59 38위안 22:00~22:59 58위안 23:00~23:59 78위안 00:00~5:59 98위안 (매 10km 초과 시 20위안) | 6:00~21:59 35위안 22:00~5:59 55위안 (매 1km 초과 시 5위안) | 음주 후 서비스 장거리 여행 업무상 행차 |
2 | e대리운전 | 6:00~21:59 40위안 22:00~22:59 60위안 23:00~23:59 80위안 00:00~5:59 100위안 (매 10km 초과 시 20위안) | 7:00~21:59 40위안 22:00~6:59 60위안 (매 5km 초과 시 20위안) | VIP 서비스 업무상 행차 기사 등록제 e대리운전 선물카드 |
3 | 아이대리운전 | 5:00~21:59 40위안 22:00~22:59 60위안 23:00~23:59 80위안 00:00~4:59 100위안 (매 10km 초과 시 20위안 | 7:00~21:59 40위안 22:00~6:59 55위안 (매 5km 초과 시 20위안) | VIP 서비스 기사 등록제 |
4 | 웨이대리운전 | 7:00~21:59 39위안 22:00~22:59 59위안 23:00~23:59 79위안 00:00~6:59 99위안 (매 10km 초과 시 20위안) | 7:00~21:59 39위안 22:00~6:59 59위안 (매 5km 초과 시 20위안) | 음주 후 서비스 할인 VIP 회원제 기사 등록제 |
자료원: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 e대리운전(e代驾), 아이대리운전(爱代驾), 웨이대리운전(微代驾)
- 결국 가격 차별화나 서비스 차별화가 아닌 업체의 인지도, 애플리케이션 이용의 편리성에 기인한 시장 점유율 차이가 발생
O2O 대리운전 브랜드 선택 이유
자료원: 비다쯔쉰(比达咨询)
-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의 경우 기존의 디디추싱(滴滴出行)의 높은 인지도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어,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할 수 있었음.
- 또한 따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지 않고 중국 스마트폰 사용자의 90% 이상이 사용하는 메신저 서비스 웨이신(微信)을 통해서 이용 할 수 있어 편리성을 확보하고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할 수 있었음.
웨이신(微信)에서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 이용법
자료원: 웨이신(微信)
ㅇ O2O 서비스 이용 시 기사의 수준에 대한 불안감 존재
-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 시 우려하는 점으로는 응답자의 56.1%가 기사의 운전 수준을 선택함. 이어 신변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52.6%, 기사의 도로상황 미숙지에 대한 불안감이 47%로 나타남.
O2O 대리운전 서비스 사용 불안요소
자료원: 비다쯔쉰(比达咨询)
□ 시사점
ㅇ 대리운전 서비스시장의 다원화 필요
- 음주 후 서비스 이용이 대부분이었던 초기 대리운전시장과 다르게, 최근 장거리 운행, 상업적 업무 등 여러 요인이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의 이유가 되고 있음. 단순히 운전만 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서비스 및 콘텐츠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ㅇ 인지도와 편리성이 중요한 O2O 서비스
- 스마트폰의 보급과 애플리케이션의 발달은 O2O 대리운전 서비스시장의 성장을 촉진함. 대리운전 서비스의 경우 가격, 서비스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에 브랜드의 인지도와 이용의 편리성이 가장 중요함.
ㅇ 대리운전 기사에 대한 불안감
- 대부분의 유명 대리운전 브랜드가 기사등록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신뢰도는 별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엄격히 검증된 대리운전 기사 검증제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고,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필요함.
ㅇ 안전사고 관련 법률 및 개인정보 유출 문제
- 중국 대리운전시장은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기 때문에 대리운전 관련 전문 법률 및 책임이 명확하지 않음. 따라서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분쟁에 대해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함. 또한 O2O 대리운전 서비스 이용 시 개인의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이 필요함.
ㅇ 이미 대중화된 매체와 제휴의 필요성
- 디디추싱(滴滴出行)은 자사의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웨이신(微信)과 제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 및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임. 이는 중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 역시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기보다는 이미 대중화된 매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이용의 편리성을 주는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함.
자료원: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비다쯔쉰(比达咨询), 중국 자동차유통협회(中国汽车流通协会), 대리운전 발전 백서(代驾行业发展白皮书), Analysys이관(Analysys易观), 제몐(界面), 바이두(百度), 웨이신(微信), 디디대리운전(滴滴代驾), e대리운전(e代驾), 아이대리운전(爱代驾), 웨이대리운전(微代驾).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출처: 바로가기 ☞ 중국대리운전 서비스 시장동향
'세상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플랫폼 샐태계의 부상에 따른 새로운 전략과 규칙 (0) | 2018.07.14 |
---|---|
[스크랩]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보장 개혁 : 플랫폼 노동에서의 사용종속관계와 기본소득(2017) (0) | 2018.07.14 |
[스크랩] [머니투데이]사상 유례없는 없는 빚 탕감, 이대로 괜찮나 (0) | 2017.12.20 |
[스크랩] [디지털타임스]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일제 관변학자가 왜곡한 고려국경 사실 밝혀 (0) | 2017.11.19 |
[스크랩] [디지털타임스]고용부, 택배노조 허용...대리운전기사는 불인정 (0) | 2017.11.16 |